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Chimy's Program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 연계 요구 사항 분석 본문

BASE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 연계 요구 사항 분석

chimy 2020. 6. 22. 16:15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 연계 요구 사항 분석

 

통합 구현 개념 

 

  • 사용자의 요구 사항 해결,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위해 단위 기능을 하는 모듈 간의 연계와 통합
  • 구성 : 송신 시스템과 모듈, 수신 시스템과 모듈, 중계 시스템, 연계 데이터, 네트워크
  • 구현 방법 :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송수신 방식, 송수신 모듈 구현 방법 등에 따라 다양, 구축하고자 하는 환경과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통합 구현 방법 설계

 

송신 시스템과 모듈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필요에 따라 변환 후 송신하는 송신 모듈과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으로 구성
  • 내부 연계 시 필수 요소
  • 일반적으로 연계 솔루션이 적용될 경우 데이터 생성 처리만 구현


② 중계 시스템

 

  • 주로 외부 시스템 간의 연계 시에 적용되는 아키텍처
  • 내외부 구간의 분리로 보안성이 강화
  • 인터넷 망(Internet)과 인트라넷 망(Intranet) 연결 가능
  •  중계 모듈 : 송신된 데이터의 오류 처리 및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 또는 매핑 등을 수행

 

③ 수신 시스템과 모듈

 

  •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정제(Cleansing), 응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반영하는 수신 모듈과 연계 데이터의 수신 현황 및 오류 처리, 데이터 반영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으로 구성


④ 연계 데이터

 

  • 송수신되는 데이터로 의미를 갖는 속성, 길이, 타입 등 포함
  • 수신되는 연계 데이터 형식은 크게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의 테이블과 컬럼, 파일로 분류
  • 파일은 세분화하여 text, xml, csv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분

 

⑤ 네트워크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송신 시스템과 중계 시스템, 중계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통신망
  •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공중 망 또는 사설 망(전용선 포함)과 같은 유무선의 물리적인 망과 송수신 규약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

 

 

연계 요구 사항 분석

 

  • 통합 구현을 위해 연계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연계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
  • 사용자 요구 사항은 연계 데이터와 연계 환경 구성을 위해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패턴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입력물 도구 및 기법 출력물
시스템 구성도
(H/W, N/W, S/W)
응용 애플리케이션 구성
ERD 테이블(코드) 정의서
사용자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지 및 설문 조사
델파이 기법
연계 솔루션 비교 분석
요구사항 분석서
인터페이스 정의서
(데이터 정의서)
회의록

 

ⓞ 요구사항 분석 시 입력물

 

  • 송수신 시스템과 운영되는 데이터의 이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 사항의 정확한 분석 가능
  • 식별된 사용자 요구 사항은 송수신 시스템 운영 환경과 데이터를 적용하여 연계 방식, 연계 주기, 연계 데이터 등 분석

 

(1)시스템 구성도

 

  •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2) 응용 애플리케이션 구성

 

  • 송신 측에서 연계 데이터가 발생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조도, 화면 및 화면 설계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서 연계할 데이터의 발생 시점 및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3) 엔티티 관계도(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테이블(공통 코드)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기술서, 테이블 간의 연관도, 테이블 별 칼럼(속성)이 정의된 테이블 정의서, 공통 코드 및 공통 코드 값에 대한 설명서 사용자 요구 사항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가능 여부, 데이터 형식 및 범위 등 확인

 

요구사항 분석 시 도구 및 기법

 

  • 효과적으로 연계 요구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 인터뷰, 체크리스트(Checklist)같은 도구 및 기법 활용

 

(1) 사용자 인터뷰, 핵심 사용자 그룹 면담(FGI, Focus Group Interview)

 

  • 사용자 면담 또는 시스템 관리자 및 서비스 활용자와 같은 핵심 그룹 면담 연계 데이터 정의, 연계 데이터의 활용 목적, 필요성 등 식별
  • 사용자 인터뷰 전 연계 대상 시스템의 응용 애플리케이션 기능, 서비스 확인 필요

 

(2)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Checklist)

 

  • 연계 데이터와 연계 시스템 아키텍처 정의를 위해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등 다각도의 관점에서 고려 사항 점검 및 확인

(3) 설문지 및 설문 조사

 

  •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가 필요한 데이터를 식별
  • 연계 주기 등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 항목을 통해 자료 수집
  • 객관식 문항으로 예상 답변을 일정 범위 이내로 한정

 

(4) 델파이 기법

 

  • 통합 구현 및 연계 전문가, 시스템 아키텍처,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부터 연계 데이터 및 사용자 요구 사항 식별

 

(5) 연계 솔루션(Solution) 비교 분석

 

  • EAI, ESB, Open API 등 다양한 연계 방식과 연계 솔루션 별 연계 시의 성능, 보안, 데이터 처리, 모니터링 등의 장단점 비교

 

요구 사항 분석 결과물

 

  • 사용자 및 시스템 관리자 인터뷰, 체크리스트 등을 활용해 연계 데이터와 연계 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한 요구 사항을 식별 및 분석
  • 식별된 요구 사항은 요구 사항 정의서 또는 요구 사항 분석서에 요구 사항 유형, 요구 사항 설명, 해결 방안, 요구 사항에 대한 제약 조건, 중요도, 출처의 내용으로 작성, 연계주기, 연계 방식, 연계 데이터를 식별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기술
  • 연계 데이터와 관련한 요구 사항을 상세하고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엔티티 관계도(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및 테이블 정의서와 같은 입력물을 활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