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my's Program
정보처리기사 실기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본문
정보처리기사 실기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네트워크 개요
- 네트워크 :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
- 프로토콜 : 정보 전달 시에는 약속한 규칙
※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1] WAN 광대역 네트워크
- LAN에 비해 전송 거리가 넓음
-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
- LAN 대비 에러율이 높고 전송 지연이 큼
[2] LAN 근거리 네트워크
- 한 건물 또는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
① WAN(Wide Area Network)
- 국가,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거리에 제약이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지나 정보가 전달되므로 LAN보다 속도가 느리고 에러율도 높음
- 전용 회선 방식 : 통신 사업자가 사전에 계약을 체결한 송신자와 수신자끼리만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 교환 회선 방식 : 공중망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선로를 공유하는 방식
(1) 회선 교환 방식
-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
-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고 안정적인 전송률 확보
(2) 패킷 교환 방식
-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 패킷 :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 입력
-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계층 표현 모델
-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
-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기능 제공
- 1계층인 물리 계층부터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정의
- 네트워크 관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에는 5, 6계층 레이어는 7계층 레이어로 합쳐 통칭
계층 | 계층이름 | 설명 | 주요 장비 및 기술 |
1 | 물리 계층 | 실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 허브, 리피터 |
2 | 데이터 링크 계층 | 오류와 흐름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 | 브리지, 스위치 |
3 | 네트워크 계층 | 다수의 중개 시스템 중 올바를 경로를 선택하도록 지원 | 라우터 |
4 | 전송 계층 | 송수신 프로세스 간 연결 | TCP/IP, UDP |
5 | 세션 계층 | 송수신 간 논리적 연결 | 호스트(PC) |
6 | 표현 계층 | 코드 문자를 번역하여 일관되게 전송, 압축, 해제, 보안 기능 | 호스트(PC) |
7 | 응용 계층 | 사용자 친화 환경 제공(이메일, 웹) | 호스트(PC) |
네트워크 주요 장비
① 허브, 리피터
- 허브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장비
- 리피터 :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신호가 약해지지 않고 컴퓨터로 수신
② 브리지, 스위치
- 브리지와 스위치 :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 두 개의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듦
- 스위치 : 하드웨어 기반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름, 각기 다른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 제공하는 포트 수가 수십, 수백 개, Store and Forwarding 전송 방식 사용
- 브리지 :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림, 포트들이 같은 속도를 지원, 2~3개의 포트 제공, Cut Through와 Fragment Free 방식 같이 사용
-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를 전부 받은 후 다음 처리를 하는 방식
- Cut Through :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전송 처리하는 방식
- Fragment Free : 위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③ 라우터
- 망 연동 장비
- PC 등의 로컬 호스트가 LAN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WA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WAN에 접근
- 라우팅 프로토콜은 경로 설정을 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지정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
네트워크 주요 장비 기능 확인
① OSI 7계층 구성에 따라 전달되는 데이터의 형식 파악
- 응용 계층부터 물리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전달되는 정보의 종류와 형식 상이
OSI 7 Layer | 전달되는 정보 및 형태 | |||
응용계층 표현계층 |
||||
세션계층 | Data | |||
전송계층 | Data | TCP 헤더 | ||
네트워크계층 | Data | TCP 헤더 | IP 헤더 | |
데이터링크계층 | Data | TCP 헤더 | IP 헤더 | MAC 주소 |
물리계층 | 010101000001011011 |
(1) Data 구조의 특징 파악
- 데이터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전달
- 16bit, 24bit, 36bit, ASCII, BCDIC, Binary 등으로 구분
- 각 전달 방식의 특징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데이터 표현 방식 정리
(2) TCP 헤더의 정보를 조사
- TCP 헤더는 송수산자의 포트번호, 순서 번호, 응답 번호 등을 전달되는 정보를 조사하여 정리
(3) IP 헤더가 포함하는 정보를 파악
- IP 헤더는 IP 버전과 전송지 IP, 목적지 IP뿐만 아니라 프로토콜의 종류, 서비스 타입이 표준화
- IP 헤더는 IPv4와 IPv6 IP 체계에 따라 다른 표준을 따름
- IPv4와 IPv6 방식 간 차이점을 조사하고 주소 표기 체계 구분
(4) MAC 주소의 특징을 파악
-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
- 이더넷과 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기기들이 주소를 가짐
- 자신이 보유한 네트워크 접속 가능 장비의 MAC 주소 확인
(가) Windows 시스템에서 MAC 주소 확인
- Windows의 시작 버튼을 눌러 실행 클릭
- CMD 명령어를 입력하여 코멘드 명령어 창 호출
- 명령어 창에 ipconfig/all을 입력하면 MAC 주소 확인
(나) 리눅스, 유닉스에서 MAC 주소 확인
- root@hostname:~#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Windows와 마찬가지로 MAC 주소 확인
②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장비 구성을 파악하고 역할 확인
-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되는 각 장비의 특성 파악
(1) 각 장비의 역할을 조사
(가) 허브
- 다수의 오프라인, 온라인 접속 기기들을 로컬 네트워크(LAN)에 연결하기 위한 장비
- 수신한 프레임을 수신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전송
(나) 스위치
-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가진 장비 측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송하는 역할
(다) 스위칭허브
- 스위치 기능을 가진 허브를 의미
- 요즘 사용되는 대부분의 허브가 스위칭허브
(라) 망(백본) 스위칭허브
- 광역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스위칭허브
- 경남권 스위칭, 부산권 스위칭 등 대단위 지역을 커버
(마) 라우터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과 W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킹 장비
(바)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
-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인터넷 라인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여러대의 기계를 연결하거나 무선 신호로 송출여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인터넷 라인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기
(사) 브리지
-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아) NIC(Network Interface Card)
-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치
(자) 리피터
- 감쇠된 전송 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재생 중계 장치
(차)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
(2) 스위칭허브 매뉴얼을 참조하여 사용되고 있는 표준과 주요 기능 파악
- IEEE 표준에 대해 찾아보고 표준을 준수해야 하는 이유 정리
- 프로토폴, 케이블, 필터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 파악
(3) L2 스위치와 L3, L4 스위치의 기능상 역할을 구분
- L2, L3, L4 스위치는 OSI 중 어떤 계층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구분
- 각 레이어에서 스위칭기능이 일어날 때의 장단점 파악
구분 | 특징 | 한계 |
L2 스위치 | 가장 원초적 스위치 | 상위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IP 이해 불가 IP 이해 불가에 따른 라우팅도 불가 |
L3 스위치 | IP 레이어에서 스위칭을 수행해 외부로 전송 | 라우터와의 경계 모호 FTP, HTTP 등 우선 스위칭 불가 |
L4 스위치 | TCP/UDP 등 스위칭 수행 FTP, HTTP 등을 구분하여 스위칭 하는 로드 밸런싱 기능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파악이 가능한 이메일 내용 등 정교한 로드 밸런싱 수행 불가 |
(4) 스위치와 라우터의 기능상 차이 구분
-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 전달 경로를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
②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영향 파악
- 영역이 확장되어 사용해야 하는 기기가 500여 대로 증가할 경우 스위칭허브 구성도 작성
- 영역을 확장하여 국가 간 네트워크를 연결해야 할 경우 필요로 하는 장비를 정의하고 구성도 작성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 정렬/이진 탐색 (0) | 2020.10.01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 (0) | 2020.09.30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데이터베이스 관리 (0) | 2020.09.28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활용 (0) | 2020.09.27 |
코딩테스트 DFS/BFS (0) | 2020.09.25 |
Comments